“일반인들은 있는 지 없는 지도 몰라요” 김광훈 에코바이크 사무국장은 공공자전거의 문제점을 이렇게 꼬집어 말했다. 현재 광주광역시청과 각 구청, 동사무소 등에는 무료로 빌릴 수 있는 공공자전거가 비치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 일반인들이 얼마나 이를 알고있는 지에 대해선 의문이 드는 상황이다.
얼마 전 찾은 한 구청에서 확인한 자전거 대여 장부, 일년 간 자전거를 빌린 사람이 채 20명도 되지 않는다. 이 기관에는 자전거가 총 15대가 비치되어 있지만 대부분의 자전거가 제 몫을 하지 못하고 자리만 지키고 있다.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해 세금을 들여 공공자전거를 마련했지만, 극히 저조한 이용률이 당초의 취지를 무색케 한다. 한 동사무소, 자전거를 빌리러 왔다고 하자 “자전거가 창고에 있는데 열쇠를 인수인계 받지 못했다”며 “이번 주엔 빌릴 수 없다”고 대답한다. 공공자전거의 관리부실을 여실히 보여주는 이 상황은 공공자전거에 대한 홍보부족이 불러온 측면이 크다. 빌리는 사람이 거의 없기 때문에 담당자의 관심에서 조차 멀어지는 것이다. 홍보부족이 저조한 이용률을 낳고, 저조한 이용률은 다시 관리부실을, 관리부실은 다시 이용률 저하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김광훈 사무국장은 공공자전거에 대해 “현재 몇 대가 있는 지 제대로 파악도 안 되는 상태”라며 “기관장들의 치적사업으로 시작만 했을 뿐 관리가 안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 마디로 행정기관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원스톱서비스가 필요합니다. 관련부서를 하나로 통일하고, 자전거 관리·보급·홍보를 맡을 직원이 적어도 각각 1명씩은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자전거 정책계가 생긴지 1년만에 슬그머니 사라졌습니다. 자전거 정책의 후퇴를 보여주는 것이죠. 광역시 규모에 맞게끔 인력과 예산이 배치될 필요가 있습니다.”
그는 무엇보다 행정기관이 먼저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먼저 바꾸고 시민들에게 요구해야죠. 아무것도 안하면서 시민들에게 강요하면 듣겠습니까? 시장부터 1주일에 한 번이라도 자전거를 타야돼요. 만약 강운태 시장이 그럴 생각이 있다면 자전거를 사 줄 용의도 있습니다.”
채전경 기자 blake@gjdream.com